IT/네트워크

L1 L2 L3 L4 장비? / OSI 7 계층 (Layer) 1/2

삐뚤어진 개발자 2020. 5. 28.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의 전산직이나, 관련 업무를 맡다 보면 L1, L2, L3, L4 장비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osi 7 계층(Layer)과 더불어 L1~4 장비들의 설명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L1 L2 L3 L4 장비? OSI 7 계층? (Layer)

정보처리기사 or 산업기사 공부해본 사람은 osi 7 계층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으실 겁니다.

osi 7 계층은 간단히 말해 국제 표준 네트워크 구조를 말합니다.

osi 7 계층의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할 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네트워크를 관리해야 하는 전산직이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osi 7 계층을 잘 설명해주는 그림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Layer 1 / L1 / 물리 계층 / Physical Layer

첫 번째로 layer1는 보통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이라 불리는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비트 단위로 통신을 하며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통신합니다.

단순하게 단지 데이터를 전송할 뿐, 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어떻게 보내는 게 효율적인지 등은 전혀 관여하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 랜 케이블(랜선), 허브, 리피터가 이 계층에 속합니다.

 

Layer 2 / L2 장비 / Data Link Layer

layer2는 데이터 링크 계층입니다. layer 1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의 오류나, 흐름을 관리합니다.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통신에서 오류가 있는지 알려주기도 하고, 재전 송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맥 주소 Mac address 단위로 통신을 관리합니다.

L2 장비라 함은  L1, L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말합니다.

브리지, 스위치가 L2 계층에 속합니다.

맥 주소(Mac address)

Layer 3 / L3 장비 / Network Layer

layer3는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쉽게 말해 이 계층에서는 ip주소를 가지고 통신합니다.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을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경로를 선택하고, ip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 주된 역할입니다. (라우팅)  

또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고, 재결합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layer2에 속하는 장비를 스위치라고 했는데 스위치 장비에 라우팅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면, L3 장비라 부릅니다.

(L3 장비는 L1, L2, L3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L3 장비

L3 장비에 외부에서 받은 랜선을 꽂고(L1, osi 1 계층) 각각의 컴퓨터들의 맥 주소(L2), ip 주소(L3)를 관리하고 통신합니다. 

 

 

Layer 4 / L4 장비 / Transport Layer

계층들의 숫자가 높아질수록 네트워크 통신이 더 안전해지고 섬세하게 전달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계층의 단위는 세그먼트이고, 프로토콜은 TCP, UDP가 있습니다.

통신을 할 때 보내는 쪽, 받는 쪽에 신뢰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오류 복구나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L4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로드 밸런싱'이 있습니다.

로드 밸런싱이랑 쉽게 말해 트래픽을 분배해주는 역할을 말합니다. 사용자들이 갑자기 한꺼번에 모여들었을 때, 트래픽을 각 서버로 분배해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L4 장비에서는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합니다.

 

로드 밸런싱

 

 

 

참고로 Layer 5~7 계층은 논리적인 계층이라 장비를 따로 두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5~7 계층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래의 링크로 가시면, 네트워크 논리적 개념인 L5~L7 계층들을 설명해놓았습니다.

https://taewooblog.tistory.com/136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문의해주시면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5 ~ L7 정리 / OSI 7계층 2/2  (0) 2020.06.13
텔넷 이란?(TELNET) 왜 사용할까?  (0) 2020.05.20

댓글